소뇌위축증 소식
- 소뇌위축증에 대한 진단과 치료는 어떻게 하는가?
- 18-06-18 08:43
- hit : 2,389
-
[오베트한의원]의 소뇌위축증 검사 방법
첫째,
오베트한의원은 [소뇌위축증]에 대한 유무(有無)를 검사합니다.
둘째,
소뇌위축증을
[가족력 소뇌위축증 / 다계통위축증 / 혈관성 소뇌위축증]과 같이
"3종류 유형"으로 구분 검사합니다.
셋째,
[소뇌위축증] 환우의 증상에 따라 진행된 상태를
[전조증상 / 초기증상 / 중기증상 / 말기증상]으로 구분 검사합니다.
소뇌위축증 치료 경과 확인 방법
[오베트한의원의 소뇌위축증 환자의 '맞춤형 처방']으로
6개월-1년 치료한 결과를
아래와 같이 치료된 상태를 확인하려고 합니다.
1. [전조증상 / 초기증상] 단계에서 내원한 환우의 증상이
6개월-1년 후
<증상호전 / 진행정지>되는 효과를 통계(%)로 확인합니다.
2. [중기증상 / 말기증상] 단계에서 내원한 환우의 증상이
6개월-1년 후
<증상호전 / 정지 / 미미한 진행>되는 효과를 통계(%)로 확인합니다.
3. [맞춤형 처방]으로 치료 효과가 전혀 없어
3개월 후
증상이 <계속 진행>되는 환우를 통계(%)로 확인하려고 합니다.
6개월-1년 후, 치료 경과 확인의 객관적 기준
1. 정상회복 : <전조증상> 때 한약 복용한 후 거의 정상으로 회복
2. 증상호전 : 한약 복용 후 증상이 감소되거나 소실되는 정도로 호전
3. 진행정지 : 한약 복용 후 처음 내원 때와 증상이 “동일(同一)”하게 유지
4. 미미한 진행 : 한약 복용 후 처음 내원 때보다 <한 단계> 더 진행
5. 계속진행 : 한약 복용 후 계속 증상이 악화된다.
1. 가족력 소뇌위축증
1) 20-30대에 주로 발병하며, 일부는 40대 이후에 발생한다.
2) “초기증상=> 휠체어”까지 진행하는 기간은
“4-5년”으로 가장 느리게 진행한다.
3) 특징은 부모와 형제, 친척 중에 <소뇌위축증> 환자가 있다.
2. 다계통위축증(MSA)
1)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한다.
2) “초기증상=> 휠체어”까지 진행하는 기간은
“9개월-1년”으로 가장 빠르게 진행한다.
3) 특징은 처음부터 <보행 장애와 언어장애>의 증상이 있다.
3. 혈관성 소뇌위축증
1) 주로 50대 이후에 발병한다.
2) “초기증상=> 휠체어"까지 진행하는 기간은
“2년-2년 6개월”로 다계통위축증보다 느리게 진행한다.
3) 특징은 초기에 어지러운 증상이 있으며, 언어장애는 중기 이후에 나타난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